본문 바로가기

Natural Science

소디움-포타시움 펌프 (Sodium-Potassium Pump)

 

인체의 총 에너지 소비는 기초대사량(70%), 활동에너지(20%), 식사로 인한 열 발생 에너지(10%)로 구성되는데 기초대사량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이중 기본적인 생체기능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로 심장박동, 호흡, 체온조절 등을 위한 에너지인 기초대사 에너지를 많이 쓰는 순서는

첫째, 간은 기초대사 에너지의 29%를 소비하고,

둘째, 뇌는 체중의 2% 정도밖에 되지 않지만 20%를 소비하며,

셋째, 휴식 상태에서 근육이 18%의 에너지를 소비한다.

 

이 모든 에너지의 근본은 인체가 움직이든 움직이지 않든 세포 활동이 있어야만 사람이 살 수 있기 때문에 결국에는 세포가 관건인 것이다.

 

인체는 적어도 성인 남성은 36조개의 세포(cell)로 구성되의 있고, 세포외액(Extra cellular Fluid, ECF)과 세포내액(Intra cellula Fluid, ICF)으로 구성되는데 세포는 세포외액이라는 우리 몸속의 거대한 바다에 둥둥 떠 있는 것이다.

소디움-포타이움 펌프

 

소디움-포타이움 펌프(Sodium-Potassium Pump)는 나트륨-칼륨 펌프로 Na+/K+ 펌프 또는 Na+/K+-ATPase 라고도 하며 모든 동물 세포의 세포막에서 발견되고, ATP의 에너지를 사용하여 나트륨 이온을 세포 밖으로, 칼륨 이온을 세포 안으로 이동시켜 전해질 균형과 전기적 안정성을 유지한다.

 

다시 말해 세포 외부에는 더 높은 농도의 소디움이 생성되고 유지되며, 세포 내부에는 소디움(Na+)을 적게하고 포타시움(K+)이 많도록 유지시키려고, 숨을 쉬는 내내 세포 내부로 침투하는 나트륨을 끝없이 퍼내는 작업을 하는 것을 세포막의 능동적 수송수단이라 하고 이 작업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펌핑과정이다.

 

따라서 우리는 운동을 하지 않고 가만히 있어도, 세포는 항상성을 유지하려 에너지 60% 이상을 세포막의 능동적 수송수단을 하는 데 쓰고 있다.

 

또 생명(Life)은 막(Cell Membrane)으로부터 출발한다.

막은 안과 밖을 다르게 차별지게 하는 것으로, 생명의 원리는 안과 밖이 다른 차별의 원리이다.

차별을 가능케 하는 것이 소디움-포타이움 펌프(Sodium-Potassium Pump)이다.

 

생명에는 평등이란 게 없다.

평등은 불평등을 조화시키는 조화의 평등만 있을 뿐이다.

생명은 무차별한 평등이 아니라 차별의 조화끊임없이 조화를 향해 상향하는 것이다.

 

날아가는 화살을 사진으로 찍었다고 볼 때, 시간의 공간화라는 말을 쓰는데, 시간의 공간화는 시간을 무생명적인 것으로 만들어 죽여 버리는 것과 같다.

 

우리가 존재하려면 날아가는 화살과 같이 진행되어야 되는 것이지 철학이든 사회든 고착화되어 버리면 그 철학과 사회는 죽어버리는 것과 같다.

그래서 시간은 생명의 시간이어야 한다.

 

생명의 근원적 약동이란 말에서 알 수 있듯이, 끊임없이 움직이는 생명의 연속적인 분출을 뜻하며, 모든 생명의 다양한 진화나 변화의 밑바닥에 존재하여, 그 비약적 발전을 추진하는 근원적 힘을 말한다.

 

실제 우주의 창조 상황은 그 무엇이든 영원히 진행되고 있는 엘랑 비탈(생명의 비약)이고 그 근원은 세포이다.

 

ps. 세계2차대전 당시 일본은 화학이 발달했던 독일에서 화학을 들어와 일본 교과서에 적용된 것을 일제 강점기 때 그대로 사용된 나트륨, 칼륨, 부탄, 메탄, 아밀라아제란 이름을 광복후에도 그대로 받아들여 현재까지도 쓰고 있다.

2016년에 대한화학회가 화합물 명명법을 개정하며 나트륨은 소디움, 칼륨은 포타시움, 부탄은 뷰테인, 메탄은 메테인, 아밀라아제는 아밀레이스, 요오드는 아이오딘, 티타늄은 타니타늄, 게르마늄은 저마늄, 망간은 망가니즈 등으로 미국식 발음을 사용하기를 권장하며 홍보하고 있다.

반응형

'Natural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루나 코덱스 프로젝트 (Lunar Codex Project)  (1) 2025.03.23
ITER의 인공태양  (0) 2025.01.12
미토콘드리아의 이해  (0) 2024.12.21
생명의 매커니즘을 장악한 식물  (1) 2024.12.20
에너지의 원천 태양  (0) 2024.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