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석의 꿈 / 김달호
은하수 길을 따라 이 땅에 오신 손님
함께 온 원자 하나 사랑에 빠졌다가
지구촌 일궈낸 낙원 우주 속에 더 푸르다
네 번째 코덱스에 실린 시 ‘운석의 꿈’은 달 착륙선 '블루 고스트'에 실려 2025년 3월 2일 달에 착륙했다.



외계 생명체 탐색(SETI, Search for Extraterrestrial Intelligence) 프로젝트는 수십년 동안 계속 진행되어 오고 있다.
우리는 늘 지구 밖 생명체를 찾으려고 계속 노력하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전직 캐나다의 물리학자이자 작가인 새뮤얼 페랄타(Samuel Peralta) 주도로 루나 코덱스 프로젝트(Lunar Codex Project)가 진행되고 있다.
루나 코덱스 프로젝트는 전 세계에서 수집된 예술, 문학, 음악, 영화 등 다양한 창작물을 달 표면에 영구적으로 저장함으로써 인류의 문화적 발자취를 미래 세대가 현재 인류의 문화적 풍요로움과 다양성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돕는 일종의 타임캡슐 역할을 하는 프로젝트로 나사(NASA)의 아르테미스(Artemis) 임무와 협력하고 있다.
배경과 의의
루나 코덱스는 현대 사회가 직면한 여러 위기 속에서도 인류가 창조적 활동을 멈추지 않았음을 증명하고, 이를 미래 세대와 공유하려는 의도로 설계되었다.
단순히 달에 예술품을 보내는 것을 넘어, 인류 문명의 흔적을 우주에 새기려는 야심 찬 시도로 이는 현재와 미래를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하며, 후대에게 우리의 이야기를 전달할 수 있는 중요한 문화적 유산으로 자리 잡을 것이다.

참여 규모
루나 코덱스 프로젝트는 특정 국가나 문화권에 국한되지 않고 전 세계 157개국에서 약 3만 명 이상의 아티스트와 작가들이 참여하여, 총 25만 점 이상의 개인의 창작물을 4개의 "타임캡슐"에 보존하여 선보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현대 예술과 문학뿐 아니라 음악, 영화 등 다양한 분야를 망라하며, 각국의 문화적 정체성과 창조성을 반영하고, 참여한 작품들은 유명 작가와 아티스트뿐 아니라 신진 예술가들의 작품도 포함되어 있어 폭넓은 스펙트럼을 자랑한다.



보존 기술
나노피치(NanoFiche)란 매우 높은 저장 용량을 갖춘 우주시대 보관에 적합한 아나로그 기술로 니켈과 금으로 만들어졌으며 최대 섭씨 1,455℃의 극한 온도에 견디며, 정보는 금속의 수명 동안 지속되는데 ‘백만 년 보관’을 위해 선택되었다.
발사 계획
NASA의 아르테미스(Artemis) 프로그램 및 민간 우주 기업들과 협력하여 전 세계 예술가들의 작품들을 달로 운반한다.
무인 로켓과 달 착륙선을 통해 작품들이 달 표면에 배치되며, 현재까지 5번의 발사가 진행되었고 총 7차례 발사가 계획되어 있다.
각 발사는 특정 지역의 달 착륙 지점을 목표로 하며, 작품들은 착륙선 안에 안전하게 저장된다.
총 7차례 Lunar Codex가 진행 중



1차 : Codex Orion
NASA의 아르테미스 임무용 유인 달 탐사선 오리온은 플로리다에 있는 NASA의 케네디 우주 센터에서 2022년 11월 16일 달 궤도로 발사되어 6일 만에 달 궤도에 도착, 달 표면으로부터 130km 상공 최근접 비행에 성공한 후 2022년 12월 11일 지구 대기권 재진입, 낙하산을 이용해 안전하게 바다에 착수하는 '스플래시 다운' 방식으로 무사히 귀환했다.
이번 무인 비행의 성공으로 나사는 향후 유인 달 탐사 미션을 위한 자신감을 얻게 되었고,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의 다음 단계로 2024년에는 유인 달 궤도 비행을, 2025년 또는 2026년에는 인류 최초의 여성과 유색인종 우주비행사가 달 남극에 착륙하는 미션을 계획하고 있다.



2차 : Codex Peregrine
페레그린 (Peregrine)은 2024년 1월 8일에 발사, DNC 임무, 지구 재진입 연소는 2024년 1월 18일에 NASA CLPS TO2-AB 임무를 통해 이루어졌다.
Peregrine 미션은 Astrobotic Technology의 NASA Peregrine Mission One에 탑재된 탑재물을 말하며, 세 개의 별도 DHL MoonBox 캐니스터에 아날로그 및 디지털 탑재물이 들어 있다.
이 미션은 발사 후 산화제 탱크에서 새어나오는 추진체 계통 결함으로 탐사선은 통제 불능한 상태가 되었다. 그러나 아스트로보틱 사는 달 착륙 목표를 포기하고 임무를 “달에 대한 최대 근접”으로 변경하여 우주선은 가까스로 10일 동안 작동 가능한 상태를 유지한 뒤 지구 재진입하면서 불타버렸다.



3차 : Codex Nova & ILO-X
노바-C(Nova-C) 및 ILO-X Lunar Codex 카메라는 2024년 2월 15일에 발사되어 2024년 2월 22일에 NASA CLPS-TO2-IM 임무를 통해 달에 착륙했다.
미국의 민간 우주기업 '인튜이티브 머신스(Intuitive Machines)'가 개발한 노바-C 우주선(오디세우스, 일명 오디)은 2024년 2월 22일 미국 동부 시간 오후 6시 23분에 달 남극 근처의 분화구 '말라퍼트 A' 지점에 착륙했으나 다리 중 하나가 부러져 옆으로 넘어져 이로 인해 태양 전지판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전력공급이 중단되었고 계획대로 완벽한 성공은 이루지 못한 채 임무는 종료되었다.
그러나 이는 1972년 아폴로 17호 이후 약 52년 만에 달에 착륙한 것으로 세계 최초로 민간 기업이 개발한 달 착륙선으로 착륙을 이뤄낸 것에 의의가 있다 하겠다.
이 성과는 NASA의 아르테미스(Artemis) 달 탐사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상업용 달 발사체 서비스(CLPS)의 두 번째 미션이었다.
세 번째 코덱스 인튜이티브 머신스의 '노바-C' 우주선에 한국계 싱어송라이터 사라 강의 음악이 포함되었다.



4차 : Codex Serenity
블루 고스트 (Blue Ghost)는 2025년 1월 15일에 발사되어 NASA CLPS-TO-19D 임무를 통해 달의 위기의 바다 '마레 크리시움(Mare Crisium)' 분지내 '몬 라트레이유(Mons Latreille)'에 착륙했다
'파이어플라이 에어로스페이스(Firefly Aerospace)'의 달 착륙선 '블루 고스트'는 2025년 3월 2일 달 앞면의 북동쪽 사분면에 안정적인 자세로 착륙에 성공한 후 30분 만에 첫 번째 일출 사진을 지구로 전송했다.
이 프로젝트는 NASA와 협력한 세 번째 민간 달 착륙선으로 NASA의 상업용 달 탑재체 수송 서비스(CLPS) 프로그램과 연계되어 있으며, 우주 산업의 다양한 분야로의 확장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고 있고, 이 코덱스에 한국의 시인들의 작품은 해. 달. 별. 우주를 주제로 한 김달호의 운석의 꿈 등 우리나라 시조 8편의 예술 작품들이 ‘폴라리스 트릴로지’라는 시집에 탑재되어 한국 데이터가 처음으로 달에 전달된 사례로 기록되었다.
이전에 인튜이티브 머신스의 '오디세우스'가 최초로 달에 착륙했으나 완벽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 것과는 달리 블루 고스트는 완전히 성공적인 달 착륙을 달성한 두 번째 민간 기업의 우주선으로 이번 성공으로 파이어플라이 에어로스페이스는 NASA로부터 1억150만 달러(약 1500억 원)를 받게 되었다.



5차 : Codex Minerva
인튜이티브 머신스의 무인 달 탐사선 '아테나(Nova-C)'는 2025년 2월 26일에 발사되어 NASA CLPS-TO-PRIME-1 임무를 통해 2025년 3월 6일에 '몬스 무턴(Mons Mouton)' 근처에 착륙을 시도했으나 차가운 분화구 안에서 옆으로 넘어져 전력을 생성할 수 없어 임무는 실패로 종료되었다.
전문가들은 인튜이티브 머신스의 착륙선이 무게 중심이 높아 작은 충격에도 넘어지기 쉬운 구조라는 지적을 제기했고, 임무는 종료되었지만 관련 팀이 임무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계속 분석하고 있다.
6차 : Codex Polaris
2025년 12월 NASA CLPS-TO-20A 미션을 통해 NASA의 VIPER 로버를 운반할 예정이었던 Astrobotic Griffin 발사와 관련된 임무로 달 남극 지역 NET인 노빌레 분화구(Nobile Crater)로 발사될 예정이다.
7차 : Codex Freya
2025년 12월 NASA CLPS-TO-CP11 미션을 통해 지구 근처 천체 랑데부 및 심우주 NET으로 발사될 예정이다.
오리온이 기록 보관 임무의 서곡이었다면, 프레야는 코덱스의 종결부이다.
태양계 너머에 우리의 존재함을 알리고자 하는 보이저 유산에 기여하려는 시도이며, Lunar Codex는 하늘에 저장된 인류 창의성의 타임캡슐이며, 미래 세대에게 보내는 병 속의 메시지이다.
'Natural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디움-포타시움 펌프 (Sodium-Potassium Pump) (0) | 2025.02.16 |
---|---|
ITER의 인공태양 (0) | 2025.01.12 |
미토콘드리아의 이해 (0) | 2024.12.21 |
생명의 매커니즘을 장악한 식물 (1) | 2024.12.20 |
에너지의 원천 태양 (0) | 2024.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