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ull view of Classification

(44)
DeepSeek에 놀란 Open AI 전쟁의 서막 중국 인공지능(AI)  딥시크(deepseek)가 2025년 1월 20일 오픈소스 AI 모델 ‘딥시크-R1’을 출시하며 전 세계 인공지능 시장에 지각변동을 일으키며 미국의 거대 기술기업들을 위협하고 있다.  딥시크는 2023년 5월 중국 항저우에서 설립된 AI 스타트업으로, 저장대학교에서 컴퓨터 공학을 전공한 창업자 량원펑(梁文峰, Liang Wenfeng)은 대학 졸업 후 2015년 대학 동창 2명과 함께 헤지펀드 '하이-플라이어'(High-Flyer)를 설립했고, 이 펀드는 딥러닝 기술을 컴퓨터 트레이딩에 적용해 큰 성공을 거두며 자산 규모는 80억 달러(약 11조 5000억 원)까지 성장했다. 량원펑은 이 과정에서 AI 기술에 대한 깊은 이해를 쌓았고, 소규모 AI 연구소를 운영하다가 독립적인 회사..
막걸리에 대하여 밀을 뭉쳐 발효 시키면 누룩이 되는데, 술을 만들 때 사용하는 발효제이다. 누룩을 체로 쳐서 쌀을 말린 것하고 섞어 항아리에 넣어 물을 적당히 붓고 따뜻한 아랫목에 이불을 덮어 일주일 정도 두면 부글부글 끓는다. 이것을 땅 속에 서너달 묻어 두면 쫙 가라 앉는데 위에 노리끼리한 맑은 물은 맑은 술로 약 15도 정도의 청주(淸酒)가 되고, 밑의 가라앉은 것을 쭉 짜내면 탁한 술 막걸리고, 남은 찌꺼기가 술지게미(조박,糟粕)다.  와인은 포도로 만든 과일주고, 막걸리는 찹쌀, 멥쌀, 보리, 밀가루 등 곡물로 만든 곡물주로 먹을 만큼만 망에 막 걸러서 또는 거칠게 마구 걸러서 먹었다고 해서 이름이 막걸리가 되었다. 또 막걸리는 술이 맑지 않고 탁해서 탁주(濁酒), 농부들이 주로 마셨다고 해서 농주(農酒), 집..
주택청약통장의 이해 그동안 ‘주택청약종합저축’의 월 납입 인정액 상한선이 10만원 이었다.이 틀이 40년 만에 깨지고 2024년 11월부터 '청약통장'의 납입 인정액이 월 25만원으로 늘어났다.이로 인해 월 납입금을 높여야 될 것이지 많은 국민들이 고민 중에 있다. 정부는 주택청약통장 월 납입금을 25만원으로 상향한 이유로 “그간의 가구소득 상승을 반영한 조치로 통장 가입자들의 소득공제 혜택 극대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하였다. 정부에서 국민들을 위해 뭔가를 해주는 것 같기는 한데 마음에 걸린다. 공공분양 당첨에 필요한 누적 적립액(1200~1500만원) 도달에 약 12년 정도 소요되던 것이 동일 금액으로 도달하는 시간이 약 5년 정도로 대폭 줄어든다는 얘기다.그러나 문제는 기존 월 10만원에서 25만원으로 상향되면, 대..
ITER의 인공태양 19세기와 20세기 문명을 형성한 화석 연료는 온실가스와 오염의 대가를 치르고서야 그 끝을 볼 것이고, 세기말까지 인구 증가, 도시화 증가, 개발도상국의 전기 접근성 확대라는 복합적인 압력으로 에너지 수요는 3배 이상으로 증가할 것이다. 새롭고 대규모에다 지속 가능하고 탄소 없는 에너지 형태가 시급하게 다가온 현재, 프랑스 남부에 자연적 재해가 거의 없는 천혜의 환경을 갖고 있는 곳 카다라슈(Cadarache) 평지에 총면적 60만 Km2 (축구장 60개 크기)의 ITER(국제핵융합실험로, International Thermonuclear Experimental Reactor)를 건설하여 세상에서 가장 큰 인공태양을 만들어 내려 하고 있다. 2010년부터 35개국이 ITER 건설에 협력하고 있는데, 7개..
호모 이마기난스와 사회적 합의 인간의 무한한 상상력을 거슬러 올라가다 보면 가히 무한대의 우주와 맞먹는 상상력을 지닌 상상하는 인간을 우리는 호모 이마기난스(Homo imaginans)라 부른다.  한 땅에 울타리를 치고 "이것은 내 땅이야!"라고 말할 생각을 해내고, 다른 사람들이 그 말을 믿을 만큼 순진하다고 생각한 최초의 인간이 문명사회의 실제 창시자다.루소는 인간이 자연 상태에서 자유롭고 평등하게 태어났다고 주장하나, 자연 상태에서는 개인 간의 갈등과 불평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인간들은 자연적 자유를 포기하고 사회 계약을 맺어 공공선을 추구한다고 보았다. 인간이 발명한 어떤 도구가 그 도구의 경제적 가치가 우리에게 피해를 주는 것보다 훨씬 더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 주면 우리는 그 도구를 수용하기 시작한다. 그래서 윤리적..
서치라이트는 좁은 공간만 비춘다. 마음은 서치라이트와 같다. 자신의 약점, 풀리지 않는 부분, 마음 불편한 구석만 거듭해서 비추려 든다.  양궁 선수들은 과녁만 쳐다보지 않는다. 몇 발 쏜 뒤, 조준경에서 시선을 떼고 주변을 둘러보는 훈련을 한다. 저격수들은 과녁만 노려보지 않는다.지나친 집중은 되려 독이 되어 주위의 위협을 눈치 채지 못하기 때문이다. 일도 마찬가지다. 업무에만 매달리면 삶은 위험하다. 치열한 생존 경쟁, 하루하루 과제에 매달리다 보면 주변을 둘러보는 시야는 극도로 좁아진다.회의 중 뾰족한 수가 나오지 않는 것은, 모두 모여 한 곳만 뚫어져라 쳐다보고 있는데 색다른 생각이 나올 리 없다.  생각이 드는 거랑 생각을 해내는 것은 차원이 다르다. 2001년 미국의 신경과학자 마커스 라이클 박사는 "사람이 눈을 감고 아무 생..
주리론(主理論)과 주기론(主氣論)의 이해 서양철학에서는 이 우주의 실체를 존재의 문제로 탐구한데 반해, 동양철학에서는 우주는 기(氣)로 구성되어 있고, 기(氣)를 움직이는 질서는 이(理)로 보았다. 정도전이 불교를 비판하며 쓴 책 불씨심성지변(佛氏心性之辯)에서,사람이 하늘로부터 받아 태어난 본성(本性)은 理고,사람이 하늘로부터 받아 태어난 마음(心)은 氣라 했다. 주자(朱子)는 우주 자연 운행 법칙에 스스로 그러한 자연(自然)법칙이 있듯이, 인간 세상의 도덕법칙인 인의예지(仁義禮智)는 인간이 본래 지닌 본성(本性)으로서 氣에 종속되지 않는 理로 해석했고, 理가 사람에게 명령하는 도덕적 품성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인간이 도덕적으로 살아야 한다는 생각에서 주자가 인간의 本性을 理로 해석했다 해서 성리학(性理學)이라 하고, 주자에 의해 성리학의..
'Welcome and Hello' "항상 맑으면 사막이 될 뿐,비가 내리고 바람이 불어야 비로소 비옥한 땅이 된다." (스페인 속담)

반응형